주가는 기업 이익(EPS)에 어느 정도 선행하는가? (개별 기업의 사례)
c. 주가는 기업 이익(EPS)에 어느 정도 선행하는가 (개별 기업의 사례) 앞에서 액면분할이나 액면병합을 고려해서 EPS를 구하는 방법을 소개하였습니다. 이 글에서는 EPS와 주가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봅니다. EPS는 사업보고서 기준으로 1년간 유지되는 값이고, PER은 대개 시가를 기준으로 다시 계산합니다. PER을 EPS가 산출된 날의 주가를 기준으로 고정하지 않으면 분석할 때 실수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주가와 관계를 비교할 때에는 EPS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습니다. 주가, PER, EPS의 예 아래는 삼성전자 주가와 PER, EPS의 그래프입니다. PER과 EPS값이 유효하다고 추정되는 2000년 4월 이후 테이터를 이용하였습니다. 세로축은 로그 스케일입니다. PER은 대체적으로 일정 범위내에서 안정적이고, 주가와 EPS는 전반적으로 비슷한 경향을 띄고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2023년 3월에 전년도인 2022년 실적을 발표했다고 하겠습니다. 투자자들은 전혀 깜깜한 상황에서 새로운 정보를 얻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이미 2022년 1, 2, 3분기 실적은 공식적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여기에 추가로 4분기 실적이 추가되는 것입니다. 4분기 잠정 실적 발표도 있었다면 이 역시 감안될 것입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이 예상하는 실적은 기존 실적이 고려된 실적입니다. 이를 MarketEPS 라 부르겠습니다. 여기서는 설명과 계산의 편의를 위해 1년을 240영업일로 두었습니다. 시장 컨센서스를 반영한 MarketEPS 분석에 사용할 4종목에 대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액면 분할/병합이 고려된 MyEPS와 MarketEPS를 그려보겠습니다. 위의 그래프처럼 MarketEPS 는 투자자들이 분기별 실적 발표를 알고, 기업의 영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시점에서 합리적으로 그리고 상당히 정확하게 예상한 EPS 입니다. 대개 말하는 시장 컨센서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예상과...